본문 바로가기
실생활과 경제관련

‘착한 운전 마일리지’ 쌓아서 혜택 챙기세요

by 신디부 2022. 9. 14.
반응형

착한 운전 마일리지쌓아서 혜택 챙기세요

운전을 하다 보면 고의가 아니더라도 교통법규를 어기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범칙금이나 과태료 내는 비용도 아깝지만 벌점이 쌓이게 되면 면허 정지 또는 면허 취소까지 당할 수 있는데요. 반대로 평소에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 혜택도 있어야겠죠.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 마일리지를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입니다.

 

.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는 무엇인가?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는 운전자가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사고를 내지 않겠다는 서약을 한 다음 1년 동안 이를 잘 유지하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제도입니다. 1년 동안 10이 쌓이게 되는데요. 2013년도에 처음 생겼으니까 그때부터 마일리지를 쌓으신 분들은 70점까지 쌓인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모르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서약자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이 마일리지로 물건을 살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본의 아니게 사고를 냈을 때나 법규를 위반하는 등 언제 받을지 모르는 벌점을 감면받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를 가진 운전자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한데요. 그래서 운전을 안 하시는 장롱 면허이신 분들도 신청을 미리 해놓으시면 나중에 본격적으로 운전을 하게 됐을 때 뜻밖의 혜택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신청을 해야만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라서 평소에 준법정신을 가지고 운전하시는 운전자분들과 오랜 기간 무사고이시거나 벌점을 한 번도 받지 않은 운전자라도 이전에 신청하지 않았다면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쌓이지는 않습니다.

 

. 신청방법

신청방법이 아주 간단하니까 혹시 모를 벌점에 대비해서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경찰청 교통 민원 24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고요. 컴퓨터를 활용한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가까운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에서 방문 신청도 가능합니다.

 

1. 정부 24 홈페이지 검색해서 들어가셔서 착한 운전 마일리지검색하시면 간단한 설명이 나와 있고 온라인 신청’  가능 옆에 사이트 가기 누르시면 경찰청 교통 민원 24로 연결되는데요. 메인화면에 착한 운전 마일리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2. 공인인증서나 디지털 원패스로 로그인하실 수 있는데요. 로그인하시면 자동으로 성명, 생년월일, 면허번호, 서약 기간이 들어간 서약서가 나옵니다. 이름 옆에 서명 대신 신청 누르면 바로 완료됩니다.

 

. 착한 운전 마일리지 혜택

서약을 하게 되면 1년 동안 교통법규를 위반하지 않고 사고를 내지 않아야 하는데요. 교통법규 위반은 운전면허 취소나 정지와 같은 중과실부터 신호 위반이나 불법 주차같이 경미한 법규 위반으로 범칙금이나 과태료 등의 처분도 받으면 안 됩니다. 부득이하게 벌점이 쌓여서 40점이 되면 면허가 일정 기간 정지가 되는데요. 만약에 4년간 40점의 마일리지를 쌓아두셨다면 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벌점이 쌓여도 벌점을 0점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과실로 인해서 벌점을 한 번에 아주 많이 받았더라도 면허 정지 일수에서 마일리지 10점당 10일을 빼 주기 때문에 마일리지를 많이 쌓아놓으면 면허 정지 기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 운전을 하지 않는 분들도 혹시 모를 미래를 대비해서 미리 서약해두시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만약에 교통법규를 위반했거나 사고가 나서 서약한 내용을 못 지키시더라도 손해 보는 일은 없고요. 위반하셨다면 다시 같은 절차로 다시 서약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서약을 하는 행동만으로 마음가짐이 달라지고 의식적으로 교통법규를 지켜야겠다는 생각을 조금이라도 하기 때문에 나라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서약자가 늘어날수록 교통법규 위반 건수가 줄어들고 교통사고도 함께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내 벌점을 조회하고 싶으시다면 경찰청 교통민원 24 홈페이지에서 운전면허, 조사 예약 메뉴에 들어가셔서 운전면허 벌점 조회를 클릭하고 로그인하면 확인하실 수 있고 같은 홈페이지에서 착한 운전 마일리지 확인도 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