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과 경제관련

품질이 좋지 않은 ‘이런 유산균’은 피하세요

by 신디부 2022. 9. 9.
반응형

품질이 좋지 않은 이런 유산균은 피하세요

시중에 너무나 많은 유산균 제품들이 나와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저도 여러 종류의 유산균 제품들을 복용해 봤는데요. 어떤 제품은 효과가 직방이고 또 어떤 제품은 먹으나 안 먹으나 별다른 효과가 없을 때가 있어서 알아봤습니다. 이런 기준에 해당된다면 안 좋은 유산균일 수 있다고 합니다.

 

1. 균주 종류가 너무 많은 유산균 제품

요즘에 '17종 유산균이 들어가는 유산균을 먹자'라고 하는 업체가 있는데요. 유선균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적절한 성분 배합비율이 중요하고 핵심 균주가 들어가 있느냐 안 들어가 있느냐가 중요하고 단순히 종류가 많다고 좋은 게 아니라고 합니다.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서로 조화를 이루기가 어려워지고 목표했던 넣은 균이 편차를 두면서 사멸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균 수는 유지가 되더라도 우리가 원했던 효과를 못 보는 경우가 많고 균종이 15개 이상 넘어가는 그런 것들은 걸러 주는 게 좋다고 합니다.

 

2. 유산균에 대한 정보가 없는 제품

어떤 특허 균주를 썼고 어느 회사의 균인지 안 쓰여있는 경우는 직접 판매처에 문의해서 어떤 회사의 균주를 얼마나 썼나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합니다. 1 캡슐당 100억 보장, 장까지 살아있는 유산균도 중요하지만 좋은 특허 균주를 썼나 안 썼나 가 가장 핵심이 된다고 합니다. 꼭 확인해야 하고 안 쓴 경우에는 대부분 자신이 없는 경우라 합니다.

 

3. 좋은 원료 사용 표기는 했지만 가격이 너무 저렴할 때

모든 균주가 유명회사 균주인지 확인이 어려운 제품을 의미하는데요. 너무 가격이 저렴한데 특허 균주 100%는 쉽지 않다고 합니다. 그런 경우는 이렇게 될 수도 있답니다. 10개의 균주가 들어가 있는데 한두 개만 특허 균주이고 나머지는 저렴한 것들을 넣었다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유명한 특허 균주를 100억 균주 중에서 대략 10억만 넣고 나머지 90억은 출처를 알 수 없는 균주 들일 수 있다고 합니다. 단가가 높아지면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판매가 어려워서 특허 균주만 보여주고 단가는 확 낮추고 그런 유혹에 빠지기 쉽다고 합니다. 그래서 판매자의 철학도 중요하다 합니다.

 

4. 가짜 신바이오틱스, 가짜 프리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를 실제로 제대로 안 넣고 프리바이오틱스를 넣은 신바이오틱스다 이런 이야기가 너무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포스트 바이오틱스라는 유산균 사균체를 아주 조금 넣고 여기에다 유산균을 넣고 포스트 바이오틱스라고 광고하기도 한답니다. 실제로 신바이오틱스가 되려면 프리바이오틱스를 유의미할 정도로 제대로 넣어야 한다고 합니다. 포스트 바이오틱스는 우리나라에서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건강 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은 특정 포스트 바이오틱스만 믿을만하다 합니다.

 

5. 관리가 잘 안 된 제품(콜드 체인 시스템 확인)

통에 들어있는 경우, 특수 용기도 아니고 그냥 일반 통에 들어가 있고 제습제만 들어있는 경우는 피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1년 내 내는 아니더라도 한여름처럼 아주 더울 때 냉장 배송을 하지 않는 유산균들, 프리미엄 유산균이라면 균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100억 보장이면 400~500억 투입해야 하는데 그것을 잘 유지하고 관리하려면은 냉장 배송 시스템이 이루어져야 되고 특히 봄, 가을, 겨울은 문제가 없는데 초여름부터 늦여름은 냉장 배송이 필수라고 합니다. (물론 열에 안전한 유산균은 제외) 유산균들은 냉장 보관이 필요한데 냉장 보관도 안 하고 용기 상태도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이런 것들이 유산균을 잘 관리 안 하는 업체라고 의심이 드는 거죠.

 

4. 검색만 하면 나오는 유산균인데 터무니없이 저렴한 경우.

검색만 하면 최상단에 올라가려면 되게 비싼 돈을 지불해야 하고, 약 일주일에 돈 1000만 원 정도는 써야 하는데, 그런 돈을 쓰고 연예인까지 쓰면서 가격은 저렴하다? 가격이 저렴하면서 광고단가까지 충당하려면 상당히 원가가 저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품질은 나올 수 있지만 최상급은 아닐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원가가 비싼 유산균은 포털사이트 상단에 노출시키기 어렵다고 합니다.

 

이런 기준의 유산균은 좀 거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유산균 고를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