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지원금 정보 - 알뜰 교통카드
요즘 날씨도 좋고 그동안 코로나로 인해 자제했던 분들 많습니다. 그런데 어디를 가든 편하게 승용차를 이용하기도 합니다만 기름값도 무섭고 길도 막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볼일 보실 때도 운동도 할 겸 기름값도 아끼고 차를 두고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그래서 대중교통 이용하는 분들께 돈이 되는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1. 교통비 지원금으로 혜택 받은 예
작년에 수도권에 살고 있는 한 분은 서울로 출퇴근을 하면서 글쎄 무려 연간 약 42만 원의 교통비 할인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 말은 바꿔서 말하면 누군가는 안 내도 되는 아까운 거금 42만 원을 더 내면서 타고 다녔다는 얘기가 되는 거죠. 특히 오늘 내용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다 해당되는 정보입니다. 실제로 2021년 한 해 동안 대중교통 할인을 받은 분들은 총 29만 명이라고 하는데요. 2020년 대비 무려 77%가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교통비 할인을 받은 연령층을 살펴보니 이렇습니다. 20대가 44.3%, 30대가 31.6%로 젊은 층들이 약 76% 차지하고 있는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떨어집니다. 40대 11.9%, 50대 8.6%, 60대 이상 3.5%로 젊은 층들에 비해 할인받는 비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젊은 층들이 활동을 많이 하는 건 사실입니다. 학교도 다니고 직장도 다니고 대중교통 이용하는 비중이 더 높은 것은 당연합니다만 문제는 연령대가 높은 분들이 활동을 덜 하는 거야 어쩔 수 없지만 활동을 하는데도 이런 정보를 몰라서 혜택을 못 보고 있는 분들이 많다는 겁니다. 또 한 가지는 이런 정보를 알고 있기는 하는데 복잡하고 방법을 몰라서 아예 엄두조차 못 내고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다는 겁니다.
2. 대중교통 할인받는 방법
대중교통 할인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그것은 바로 알뜰 교통카드가 있어야 됩니다. 알뜰 교통카드만 있으면 말 그대로 교통비를 알뜰하게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연간 교통비의 30% 절감했다고 하는데요.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이건 안 할 이유가 없는 겁니다.
3. 알뜰 교통 카드란?
알뜰 교통 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 혜택을 누리시려면 선불카드인 티머니 페이 또는 모바일 캐시비 또는 원패스를 발급하시거나 후불카드인 신한/우리/하나카드를 발급하셔야 합니다. 티머니 페이, 모바일 케시비, 원패스는 각각의 앱을 통해서 모바일로 카드를 받으시는 거고 신한/우리/하나카드는 플라스틱 카드를 발급받아서 이용하셔야 합니다.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내가 원하는 알뜰 교통카드를 신청하셨으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알뜰 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하시고 그다음 회원가입을 하시면 되는데 카드 수령 후에 가입이 된다고 하니 이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카드 등록까지 마치셨다면 대중교통 이용하실 때 바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4. 알뜰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알뜰 교통카드 앱에 출발 버튼이 있는데요, 집에서 출발할 때 이 버튼부터 누르고 현관문을 나서야 합니다. 다시 말해 대중교통을 탈 때 누르는 것이 아니라 집이든 회사든 어디에서든 출발하실 때 미리 출발 버튼을 누르시는 것입니다. 그다음 걸어서 가든, 자전거를 타든 정류장이나 역까지 도착하신 다음 그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고 도착지에 도착하셨을 때도 도착 버튼을 꼭 누르시면 됩니다. 잊고 있지만 않으면 됩니다. 도착 버튼도 출발과 마찬가지로 집이든 회사든 목적지에 도착해서 누르셔야 된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내리고 바로 도착 버튼을 누르면 안 됩니다. 알뜰 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제도기 때문에 대중교통 타기 전/후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거리까지 다 계산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리 누르면 손해죠. 또 한 가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환승도 많이 합니다. 그 환승구간이 멀어서 많이 걸어야 되는 경우도 많지요. 이렇게 환승구간이 길어서 많이 걷는데 이것도 적립이 될까요? 안타깝게도 환승 과정의 이동 거리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5.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조건
첫 번째,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는 겁니다. 한 달에 한두 번이나 몇 번 탄다고 다 할인해 주지는 않는다는 거죠. 이 조건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회원가입 가능 지역이 있다는 것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가입 지역은 이렇습니다.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세종, 울산, 제주, 충북(청주, 옥천, 제천), 충남,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경남(창원,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양산, 통영, 고성, 사천, 함안), 강원(춘천, 강릉)입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상 지역이 아니거나 주소지가 정상 확인되지 않을 경우 마일리지가 지급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6. 저소득층을 위한 마일리지 상향 지원 제도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분들께서는 마일리지를 추가로 더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1회 교통비가 2천 원 미만인 경우 일반은 250원, 저소득층은 350원이 적립됩니다. 1회 교통비 2천 원 이상 3천 원 미만인 경우 일반은 350원, 저 소들 층은 500원이 적립되고 1회 교통비가 3천 원 이상인 경우 일반은 450원, 저소득층은 650원 적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회원가입, 앱 설치, 마일리지 적립 관련 문의를 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031-427-4415로 전화하시면 자세한 상담이 가능하다고 하니 전화로 상담해보시길 바랍니다. 복잡하다고 겁먹지 마시고 꼭 할인받으셔서 한 푼이라도 아껴보시기 바랍니다.
'실생활과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바꾸기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휴대폰 싸게 사는 방법 (0) | 2022.08.30 |
---|---|
카센터에서 바가지 안 쓰려면 이렇게 하세요. (0) | 2022.08.29 |
현금영수증 발급 사실 알림 서비스 신청하고 혜택받으세요 (0) | 2022.08.27 |
여성들의 이상 자궁출혈이 백신 부작용으로 인정되었으니 보상금 받아가세요 (0) | 2022.08.26 |
공공 마이 데이터 서비스로 은행 예금, 적금 계좌 만들 때 간편하게 바뀝니다. (2)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