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비용 어떻게 하면 좀 더 줄여볼까?
이사라는 것은 서운함도 있지만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대감도 큰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무탈하게 이사를 하기 위해서는 세심하게 몇 가지만 챙겨도 가능한 거니까 잊지 마시고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것들을 꼭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이사 비용 최저가로 낮추는 방법
1. 불필요한 물건은 사전에 처분한다.
필요 없는 짐들을 다 정리를 하고 버릴 건 다 버리면은 짐이 많이 줄어들죠. 그러면 이삿짐센터에 얘기하시면 돼요. 장롱이 몇 개고, 침대도 몇 개가 아니고 몇 개다. 그러면 이사 비용이 나름대로 줄어듭니다.
2. 이사하는 날짜에 따라 비용이 달아진다.
이사하는 시점이 중요합니다. 보통 우리가 이사할 때 체크하는 것이 손 없는 날이지요.
*여기서 손 없는 날이란 ‘손’은 날수에 따라 동서남북 4방위로 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한다는 악귀 또는 악신을 뜻합니다. 즉, 예로부터 ‘손 없는 날’이란 악귀가 없는 날이라 뜻으로, 귀신이나 악귀가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길한 날을 의미합니다. 손 없는 날은 음력으로 끝자리가 0이나 9로 끝나면 돼요. 즉, 9, 10, 19, 20, 29, 30 이런 날이 손 없는 날입니다.
이삿짐센터에 연락을 해보면 실제로 평일이 가장 싸요. 그리고 주말이 쌉니다. 그다음이 손 없는 날이 낀 평일, 다음으로 가장 비쌀 때가 손 없는 날이 낀 주말입니다. 이것을 참고하시고 여러분들이 가장 적절한 타이밍을 잡아서 이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봄, 가을이 이사 비용이 가장 비싼 계절입니다.
월초나 중순보다 월말에 이사 비용이 더 비쌉니다. 그러니 월초에 이사하시면 좀 더 저렴하게 이사하실 수 있습니다.
자녀들의 개학으로 날짜를 바꾸기 힘들 때는 예약을 여유 있게 잡아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3. 정식 허가업체를 이용한다.
제 생각에는 좋은 업체는 규모가 크고 잘 알려진 업체가 편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근데 업체를 선정하기 힘들다면 공인중개사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그럼 그분들이 서로 연락되는 그런 이삿짐센터를 알려줍니다. 이 이삿짐센터는 그 네트워크 속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바가지를 씌우거나 문제를 만들 확률이 되게 낮아요. 정 없으면 그런 분한테 한번 상의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오히려 좋을 수도 있습니다. 지역도 잘 알고, 아파트 구조도 잘 알기 때문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사비가 너무 저렴한 업체는 좀 의심해봐야 합니다. 정식 등록업체인지, 혹은 보험 미가입 업체일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선정한 이사 업체가 정식 허가 업체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보통 국토교통부에 정식 허가를 받아야 되는 데 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바로 ‘허가 이사 종합정보’라는 사이트입니다. 확인만 하시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4. 옵션비용은 사전에 확인한다.
이사업체가 견적을 유선상으로 낼 때 무거운 거 있냐 없냐 물으면 무거운 거 없다고 그러시는데, 무거운 거 있으면 이사 당일날 비용이 상승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거운 거 있으시면 사전에 미리 말하고 깎아달라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 당일날 잘못하면은 실제로 좀 분위기가 안 좋아질 수 있어요.
그리고 사다리차를 예약을 잘해서 정확한 시간에 부를 수 있게 도움을 좀 주셔야 돼요, 이삿짐이 이리로 온다 그러면 그 시간 맞춰서 정확하게 맞춰서 올 수 있게 작업을 해놔야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다리 차가 미리 와있거나 그러면 추가 비용이 나오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시간과 동선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전에 그 지역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확인하지 않고 그냥 이사 갔는 데 불러온 사다리차론 안 되고 더 큰 사다리 차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사 갈 집 관리사무소에 가서 내가 언제 이사 옵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당일날 차가 싹 없어가지고 사다리차가 대고 바로 사다리차로 올릴 수 있게 작업을 미리 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실생활과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슨 애어랩 사용후기 및 구매 시 주의사항 (0) | 2022.09.28 |
---|---|
꿀과 계피를 함께 먹으면 좋은 점 (0) | 2022.09.28 |
고구마는 생으로 먹어야 더 좋다 (0) | 2022.09.27 |
간헐적 단식은 어떻게 할까? (1) | 2022.09.26 |
황태의 단백질로 건강 챙기세요 (1)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