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과 경제관련

이사 비용 어떻게 하면 좀 더 줄여볼까?

by 신디부 2022. 9. 27.
반응형

이사 비용 어떻게 하면 좀 더 줄여볼까?

이사라는 것은 서운함도 있지만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대감도 큰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무탈하게 이사를 하기 위해서는 세심하게 몇 가지만 챙겨도 가능한 거니까 잊지 마시고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것들을 꼭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이사 비용 최저가로 낮추는 방법

1. 불필요한 물건은 사전에 처분한다.

필요 없는 짐들을 다 정리를 하고 버릴 건 다 버리면은 짐이 많이 줄어들죠. 그러면 이삿짐센터에 얘기하시면 돼요. 장롱이 몇 개고, 침대도 몇 개가 아니고 몇 개다. 그러면 이사 비용이 나름대로 줄어듭니다.

2. 이사하는 날짜에 따라 비용이 달아진다.

이사하는 시점이 중요합니다. 보통 우리가 이사할 때 체크하는 것이 손 없는 날이지요.

 

*여기서 손 없는 날이란 은 날수에 따라 동서남북 4방위로 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사람에게 해코지한다는 악귀 또는 악신을 뜻합니다. , 예로부터 손 없는 날이란 악귀가 없는 날이라 뜻으로, 귀신이나 악귀가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길한 날을 의미합니다. 손 없는 날은 음력으로 끝자리가 0이나 9로 끝나면 돼요. 즉, 9, 10, 19, 20, 29, 30 이런 날이 손 없는 날입니다.

 

이삿짐센터에 연락을 해보면 실제로 평일이 가장 싸요. 그리고 주말이 쌉니다. 그다음이 손 없는 날이 낀 평일, 다음으로 가장 비쌀 때가 손 없는 날이 낀 주말입니다. 이것을 참고하시고 여러분들이 가장 적절한 타이밍을 잡아서 이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 가을이 이사 비용이 가장 비싼 계절입니다.

월초나 중순보다 월말에 이사 비용이 더 비쌉니다. 그러니 월초에 이사하시면 좀 더 저렴하게 이사하실 수 있습니다.

자녀들의 개학으로 날짜를 바꾸기 힘들 때는 예약을 여유 있게 잡아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3. 정식 허가업체를 이용한다.

제 생각에는 좋은 업체는 규모가 크고 잘 알려진 업체가 편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근데 업체를 선정하기 힘들다면 공인중개사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그럼 그분들이 서로 연락되는 그런 이삿짐센터를 알려줍니다. 이 이삿짐센터는 그 네트워크 속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바가지를 씌우거나 문제를 만들 확률이 되게 낮아요. 정 없으면 그런 분한테 한번 상의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오히려 좋을 수도 있습니다. 지역도 잘 알고, 아파트 구조도 잘 알기 때문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사비가 너무 저렴한 업체는 좀 의심해봐야 합니다. 정식 등록업체인지, 혹은 보험 미가입 업체일 수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선정한 이사 업체가 정식 허가 업체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보통 국토교통부에 정식 허가를 받아야 되는 데 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바로 허가 이사 종합정보’라는 사이트입니다. 확인만 하시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4. 옵션비용은 사전에 확인한다.

이사업체가 견적을 유선상으로 낼 때 무거운 거 있냐 없냐 물으면 무거운 거 없다고 그러시는데, 무거운 거 있으면 이사 당일날 비용이 상승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거운 거 있으시면 사전에 미리 말하고 깎아달라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 당일날 잘못하면은 실제로 좀 분위기가 안 좋아질 수 있어요.

 

그리고 사다리차를 예약을 잘해서 정확한 시간에 부를 수 있게 도움을 좀 주셔야 돼요, 이삿짐이 이리로 온다 그러면 그 시간 맞춰서 정확하게 맞춰서 올 수 있게 작업을 해놔야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다리 차가 미리 와있거나 그러면 추가 비용이 나오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시간과 동선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전에 그 지역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확인하지 않고 그냥 이사 갔는 데 불러온 사다리차론 안 되고 더 큰 사다리 차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사 갈 집 관리사무소에 가서 내가 언제 이사 옵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당일날 차가 싹 없어가지고 사다리차가 대고 바로 사다리차로 올릴 수 있게 작업을 미리 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