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으로 내가 받을 수 있는 시민안전보험 제도 확인하시고 청구하세요
정부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다양한 지원 제도가 있습니다. 지원 대상에 해당한다고 할지라도 대부분 신청을 통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몰라서 신청하지 않아서 받지 못하는 지원도 있을 수 있죠. 그런데 신청하지 않아도 받을 수 있는 지자체 지원 제도가 있습니다.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해당 사업을 시행하는 지자체에 주소를 두고 있는 국민이라면 보장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 신청하지 않아도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해당 제도를 알고 절차를 통해서 금액을 꼭 청구해야 합니다.
1. 시민안전보험 제도
전국 지방자치단체 243개 중 97%에 해당하는 235개가 시행하고 있는 제도인 시민안전보험입니다. 2015년 충남 논산시에서 최초로 시행한 이후 2018년 36개, 2019년 116개, 2020년 196개, 2021년 209개, 2022년 236개 지자체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다가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고, 농기계 사고, 어린이 보호구역 스쿨존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부상 등이 일어날 수 있죠. 이렇게 재난과 사고의 피해를 입은 시민들의 사망, 후유 장애, 부상 치료비를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가 가입한 보험이 시민안전보험입니다.
시민안전보험은 시민들의 안전 보장을 위해서 지자체에서 보험료를 부담하며 시민안전보험을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에 주소를 두고 있는 국민이라면 별도의 가입신청 절차 없이 일괄적으로 자동으로 가입되어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예산에 따라서 보장 항목 및 보상한도 금액이 다르고 통상적으로 보상한도는 최소 5백만 원에서 최대 5천만 원이며 일반적으로 최대 2천만 원 한도 내에서 보장하는 지자체들이 많습니다. 표준 36개 보장 항목 중 몇 가지를 안내해드리면 자연재난 사망,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사망 후유장애,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입원 일당, 스쿨존 및 실버존 사고, 자전거 상해 사망 후유 장애, 개 물림 진료비, 개인 이동 수단 사망 후유 장애 등이 있습니다. 시, 군, 구가 시민안전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도 해당 시, 도가 가입되어 있다면 시, 도 가입 항목에 한해서 보험금을 청구하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은 시민안전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지자체 담당 공무원에서 직접 해당 제도에 대해서 문의하거나 누리집을 통해서 해당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해야 했었는데요. 정부에서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 보다 많은 시민들이 시민안전보험의 보장 항목, 보장금액, 보험금 청구 방법 등을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새로운 안내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국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요. 이제부터 카카오톡으로 보장 항목, 금액 등을 쉽게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신청을 통해 정부에서 최대 2000만 원의 보험금 지급받으시면 좋겠습니다.
2. 카카오톡으로 확인하는 방법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우측 하단에 점 3개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상단의 카카오 페이를 눌러줍니다. 나오는 화면 우측 상단 메뉴 ‘전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조금 화면을 내리면 동내 무료보험이라는 항목이 나오는데요. 그걸 눌러주세요.
그럼 동내 무료보험이라는 내용에 '시민안전보험제도'에 대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 더 내리면 지역별로 시민안전보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지역의 시민안전보험의 주요 내용을 카카오톡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보장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제도가 있는지조차 몰라서 청구하지 않으셨던 분들 계시다면 청구 가능 기한 확인하셔서 지금이라도 꼭 신청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카카오톡으로 확인하는 방법 이외에도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시민안전보험이라고 검색하시면 여러 지역들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고 시민안전보험(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 확인하실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참고 부탁드립니다.
'실생활과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료 환급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0) | 2022.09.07 |
---|---|
기운을 회복시키는 달걀의 힘 (0) | 2022.09.07 |
쓰레기 잘못 알고 버려서 과태료 물지 마세요 (0) | 2022.09.06 |
내가 더 낸 세금, 휴대폰 요금 찾아가세요. (0) | 2022.09.06 |
가을에 떠나면 좋을 국내 여행지 추천 (1)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