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생활과 경제관련

병원 제대로 골라 찾아가는 방법 - 건강정보 앱

by 신디부 2022. 9. 1.
반응형

건강정보 앱 - 병원 제대로 골라 찾아가는 방법

병원 가실 때 어떤 병원을 주로 선택해서 가시나요? 보통은 집에서 가까운 병원을 가게 되는데요. 또는 누가 좋다더라 하면 그냥 믿고 가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 건강을 믿고 맞기는 곳이기 때문에 절대 아무 병원이나 선택해서 가서는 안 됩니다. 우리가 그동안 몰랐던 병원 이름에 숨겨진 진실과 병원 제대로 고르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가. 병원 이름에 숨겨진 진실

우선 우리가 병원 간판을 보다 보면 어떤 곳은 00 병원이고 어떤 곳은 00의 원인 곳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냥 아무렇게나 명칭을 붙이는 게 아니더라고요. 병원과 의원의 차이가 분명히 있었는데요, 병원이 더 규모가 크고 의원이 더 작습니다.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병상 수를 기준으로 나누는데요, 병상 수가 30개 이상 100개 미만일 경우 병원이라고 표기하고 30개 미만일 경우 의원이라 표기합니다. 또한 의원은 의료진 3명 이내입니다. 즉 규모의 차이가 병원과 의원을 나누는 겁니다.

 

또한 간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정보가 한 가지 더 있는데요, 병원을 볼 때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의사잖아요. 이 의사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과정을 거쳐 의사가 됐는지도 환자에게는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 전문의인지 일반의인지 이것도 환자에겐 꼭 필요한 정보인데요, 그런데 놀랍게도 간판을 통해서 이 정보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먼저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부터 알려드릴게요. 일반의의대 졸업 후 국가고시를 보고 면허증 취득을 하면 일반의가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전문의는 조금 더 복잡하고 길어요. 일반의 과정을 취득한 뒤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서 전문의 시험까지 합격할 경우 전문의가 되는 겁니다. 이 과정만 해도 보통 5~10년이 넘는데요, 이렇게 오랜 기간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수련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의보다 많은 연구와 노력의 시간을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의와 전문의가 간판에선 바로 00과 라는 진료과목 글자가 어디에 위치했느냐 이것을 통해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만 의원 글자 앞에 00 과를 붙일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려고 한다면, 한 병원은 00 의원 이비인후과이고 다른 병원은 00 이비인후과 의원입니다. 그렇다면 이 둘 중에 어느 곳이 일반의이고 어느 곳이 전문의일까요? 진료과목인 이비인후과를 의원 글자 앞에 쓴 00 이비인후과 의원전문의가 있는 병원이고 00 의원 이비인후과는 일반의가 있는 병원입니다.

 

00 내과 의원 진료과목 피부과 이런 병원은 또 뭘까요? 그건 바로 내과 전문의가 피부과 진료를 함께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즘 피부과가 아닌 곳에서도 피부 레이저 시술 등 피부 관련 진료를 병행하는 곳도 많습니다. 이런 곳들이 바로 진료과목; 피부과라는 명칭을 쓰는 병원들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의사 면허증만 있으면 어떤 과목이든 진료를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의사 면허증만 있으면 내과든, 이비인후과든, 산부인과든 피부과 진료를 같이 보고 싶다면 얼마든지 같이 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우리나라 피부과 전문의 숫자보다 피부과 진료를 하는 의사 수가 무려 10배 이상 더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진짜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고 싶은 분들은 병원 간판을 잘 살펴보시고 신중하게 병원을 선택해서 진료를 받아야 하겠습니다. 피부과를 예를 들자면 00 피부과 의원 이런 식으로 쓰여있는 곳이 전문의가 있는 곳입니다. 만약 00 의원 피부과 또는 진료과목 피부과 이런 곳은 피부과 전문의는 아닌 곳이라는 것,  간판 보실 때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나. 병원 제대로 고르는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건강정보를 검색하시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만든 건강정보라고 하는 이 뜨는데요, 이걸 설치해주세요.

2. 그러면 건강정보에서 기기의 사진, 미디어, 파일에 액세스 하도록 허용하시겠습니다까?라고 뜨는데요, 허용 눌러주세요.

3. 그다음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약관이 나오는데 우리 동네 병원을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하단에 위의 사항에 동의합니다에 동의 체크해 주시고 위치 액세스 허용앱 사용 중에만 허용으로 해주세요.

4. 그러면 성별과 연령대를 선택하라고 나오는데요, 해당되는 곳에 체크해주신 후 확인 버튼 눌러주시면 됩니다.

5.  메인 화면에 우리 지역 좋은 병원 찾기가 보이는데요, 이걸 눌러주세요. 그다음 우리 지역을 선택하신 후 찾으시는 평가분야를 고르시면 됩니다. 고혈압, 당뇨병, 만성 폐쇄 폐질환, 천식, 관절, 안과, 척추, 대장암, 급성기 뇌졸중 등등 다양한 질환별 찾기가 있고요, 또한 의료기관별 찾기도 있으니 이 중에서 원하시는 분야 한 가지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6. 예를 들어서 고혈압을 선택해볼게요. 그리고 다음을 누르면 내가 선택한 지역에서 고혈압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병원명과 함께 최근 평가 결과가 함께 나옵니다. 그리고 보라색 돋보기 아이콘을 누르면 병원에 대한 지도와 연락처도 나오니 확인하시고 방문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질병에 따라 동네에 좋은 평가를 받는 병원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꼭 심평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야만 무조건 좋은 병원인 것은 아닙니다. 평소 내가 믿고 이용하는 좋은 병원이 있다면 그건 또 나에게 맞는 좋은 병원일 수도 있으니 이 서비스는 참고용으로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아무런 정보 없이 병원을 선택하셨다면 앞으로는 이러한 방법으로 병원을 선택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